본문 바로가기

성폭력에 대해서/[나눔터] 생존자의 목소리

나눔터 84호 <생존자의 목소리②> '지금'의 가영 -가영

'지금'의 가영

가영

 

<생존자의 목소리>는 연 2회(1월, 7월) 발간되는 한국성폭력상담소 회원소식지 [나눔터]를 통해서 생존자로서의 경험을 더 많은 이들과 나누기 위해 마련된 코너입니다.

투고를 원하시는 분은 한국성폭력상담소 대표메일 (ksvrc@sisters.or.kr)로 보내주세요. ☞[자세한 안내 보기]

책자 형태인 [나눔터]를 직접 받아보고 싶은 분은 [회원가입]을 클릭해주세요.

 

성폭력생존자말하기대회 말하기 참가자였던 가영님은 현재 대학원에서 예술심리치료를 전공하며 2019년 성폭력 피해자 치유회복프로그램 내 안의 나 만나기보조진행자로 상담소와 함께해주고 계십니다. 생존자로서, 다른 생존자의 치유를 조력하는 과정에 있는 가영님의 이야기를 전합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가영이라고 합니다. 이 글을 쓰고 있는 지금은 대학원 종강 시즌에 맞춰 무척 바쁘고 정신없는 하루하루를 보내면서 가끔 넋을 놓기도 하는 중인데요, 일상을 잘 꾸려서 한 절기를 마무리 해야 하기 때문에 심경이 복잡합니다.

 

누군가의 목소리가 내 목소리가 되어 돌아올 때 저 역시 치유라는 작업은 평생을 가야할 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자주 들어요. 여성으로부터 받았던 상처를 다시 회복시켜준 연대의 공간이기도 한 한국성폭력상담소에서 저도 언젠가는 제가 받았던 연대를 나눌 수 있는 기회가 한번 쯤 찾아왔으면 하고 간절히 바라면서 살아 왔어요. 또 언젠가는 좀 더 완성된(?) 모습의 상담사로서 여성들과 만남의 작업을 하고 싶었는데 지금 어찌어찌 저에게 그 벅찬 순간을 맞이할 수 있는 기회가 감사하게도 주어져, 현재 진행되는 2019 성폭력 피해자 치유회복프로그램 내 안의 나 만나기의 보조진행자로 생존자들과 함께 하고 있답니다.

 

이 글을 쓰겠다고 마음먹었을 당시에는 무척 호기롭게 글을 시작할 수 있을 줄 알았지만, 막상 시작하니 생각보다 마음이 복잡했습니다. 즐겁고 화기애애한 시작과 마무리가 될 줄 알았건만, ‘생존이라는 두 글자가 주는 무게는 생각보다 저를 넋 놓게 하기도 하고, 아프게 하기도 하더라구요. 컴퓨터 앞에 앉아 자판기의 타자를 이리저리 눌러보려 했지만 옴짝달싹 할 수가 없었어요. 그래서 고민했어요. 나는 치유가 잘 이루어진 회복자이고, 여성들을 지원할 수 있는 치유자로서 잘 가고 있는 것일까? 과연 그렇게 말하는 데 부끄러움이 없을까 하고 말이에요. 그래서 괜히 이 작업을 시작한 건 아닐까? 내가 생존자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자격이 있는 걸까? 두려움이 일었어요.

 

다만 지금의 가영을 부정하고 싶지는 않았어요. 이 모든 것이 그냥 이고, 그것을 받아들이자고 마음먹었어요. 그리고 솔직하자고요. 그렇게 다시 자리에 앉아 침착하고 솔직하게 나 자신을 들여다보고자 해요.

 

사실 우리는 누군가로부터(혹은 나로부터) 절망하고 도망치고 싶을 때에도, 나의 생존의 무게를 견디면서 타인을 돌봤던 또 다른 치유자였을 것이고 그건 여성 연대의 모습이었을 거에요. 아니 그랬던 거죠. 그래서 생존자들이 자신의 생존의 무게를 감당하는 모습을 지켜보면서 저 스스로를 감히 치유자라고 쉽게 부르지 못하는 이유가 아닐까 생각해요.

 

이 여정에 함께한 시작한 이후로 제가 무언가 큰 역할을 했습니다. 짜잔~!!’같은 건 없었어요. 주 진행자 선생님과 상담소 담당자님의 헌신하는 모습에 감탄하고, 무엇보다 생존자들 스스로가 서로에게 또 다른 치유자가 되어주는 모습을 지켜볼 때 그 모습을 옆에서 지켜볼 수 있는 행복이 또 한 스푼 얹어져 저에게도 생존의 연대가 되더라고요.

 

그 공간 안에서 일어나는 치유의 현장을 목격하는 것, 서로가 서로에게 치유자가 되어주는 것을 지켜보며 이제 이곳에서는 조금 떨어진 곳에 있는 사람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하지만 단언컨대, ‘조금 떨어진 곳에 있기까지의 과정 역시 쉽지는 않은 여정이었습니다.

 

성폭력과 관련된 피해 경험뿐만 아니라, 여성 가해자를 가해자로 인정하는 시간 동안 여성으로 인해 무너졌던 제 경험이 다시 여성들의 연대로 회복되는 과정을 지나오면서 이게 우리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그래서 여성에게 입었던 영혼의 상처를 무엇보다 여성들의 연대로 회복했다는 지점이 저의 삶에서는 가장 크게 와 닿고 감사한 부분이에요. 부족한 저에게 현실적인 어려움을 함께 하는 사건지원부터, 저를 치유의 길로 들어서게 해준 활동가 선생님과 상담 선생님께 무척 무척 감사한 마음이에요. 이번에는 지원을 받는위치가 아니라 지원과 지지를 하는위치에서 치유자로서 저 역시 용기 있게 한 걸음 밟아보는 시도를 해 볼게요!

 

말하기대회를 준비하며 원고를 낭독 중인 가영

모두 연결되어 있음을 느껴요. 당신들의 생존이 또 다른 생존자의 삶을 응원하고 지지하고 있다는 걸 잊지 말아주세요. 거기에는 치유자로서 한 걸음을 떼는 저 역시 포함되어 있고요. 언제까지나 이 연대는 제가 다음 걸음을 내딛을 수 있는 용기의 부추김이 될 거에요.

 

모두 나대고 부추겨요.

오늘도 일상 안에서 하루를 살고, 이것저것 치열한 고민을 하며 살아가는 당신들에게.

사랑해. 그리고 안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