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폭력에 대해서

경찰 조사관이 가해자 편인 것 같아요. 어떡하죠?



 경찰이 가해자 편으로 느껴질 때
가 종종 있을 것입니다.

 실제 경찰이 가해자와 피해자를 동등하게 대하지 않는 경우도 발견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경찰이 가해자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사실만으로 비난하기는 어렵습니다.

 왜냐, 경찰은 나름 무죄추정의 원칙을 가지고 있기에,
 혐의가 입증되기 전까지는 가해자를 ‘죄가 있는 사람’으로 다룰 수만은 없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가장 문제가 되는 경우는
 
경찰이 피해자에게 인권침해의 소지가 있는 행동을 하는 경우입니다.
 다시 말해 피해상황에 대해 비아냥거리거나 성폭력을 피해자의 책임으로 비난할 때입니다.
 이 경우가 바로 고소인인 피해자들이 가장 화나는 경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 피해자는 어떻해야 할까요?


 경찰과 소통, 어렵지만 시도하자.

 ‘당장 담당 경찰을 바꾸고 싶다.’: 이런 마음이 드는 경우 참 많습니다.

 담당 경찰이 피해자에게
 “왜 모르는 남자랑 술을 마셨냐” 등의 비난 섞인 질문을 한다면
 조사 담당자를 바꾸고 싶은 마음이 커집니다.

 피해자들의 증언에서 많은 경찰들은
 “아이고, 나도 고발 안 당하려면 조심해야겠네”와 같은 말로
 피해자를 비아냥거리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경찰이 조사과정에서 가해자를 옹호하거나
 피해자의 인권을 침해하는 언행을 할 경우
 이에 대해
명확히 문제제기를 할 필요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상황에서 경찰을 고발하는 것으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는 어렵습니다.

 악질적인 경찰일 경우
 경찰조사가 끝나고 사건이 검찰에 송치된 후 민원을 제기하기도 하지만,
 이에 앞서
 
경찰이
성폭력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도록
 적극
적인 행동을 취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경찰에게 먼저 ‘말’을 겁니다.
 경찰이 피해자의 생각과 느낌을 잘 이해할 수 있도록.

 경찰인 당신은 잘 이해하지 못하겠지만,
 이 일이 왜 발생하게 되었고,
 
이 일로 인해 내가 어떤 피해를 가지는지, 내가 얼마나 힘든지’

 
조사를 시작하기 전 당부일 수도 있고,
 조사과정에서의 어려움일 수 있습니다.

 이건 조사 중간에 차를 마시는 시간도 좋고, 조사가 끝날 때도 좋습니다.
 가능할 때 최대한 말을 겁니다.
 (가만히 보면 대부분의 가해자들은 요 작업들을 참 잘 합니다.)

 경찰들도
 예전같지 않게 ‘인권보호’를 위한 노력도 기울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경찰에게 적극적으로 질문하거나 시정을 요구하지 않으면
 절대 답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경찰과의 소통을 시도하는 것!
 어렵지만 가능한 방법
입니다.